대한민국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특별시
"오늘의AI위키"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.
- 1. 개요
- 2. 선거구
- 3. 개표 결과
- 3.1. 종로구
- 3.2. 중구
- 3.3. 용산구
- 3.4. 성동구 갑
- 3.5. 성동구 을
- 3.6. 성동구 병
- 3.7. 동대문구 갑
- 3.8. 동대문구 을
- 3.9. 중랑구 갑
- 3.10. 중랑구 을
- 3.11. 성북구 갑
- 3.12. 성북구 을
- 3.13. 도봉구 갑
- 3.14. 도봉구 을
- 3.15. 노원구 갑
- 3.16. 노원구 을
- 3.17. 은평구 갑
- 3.18. 은평구 을
- 3.19. 서대문구 갑
- 3.20. 서대문구 을
- 3.21. 마포구 갑
- 3.22. 마포구 을
- 3.23. 양천구 갑
- 3.24. 양천구 을
- 3.25. 강서구 갑
- 3.26. 강서구 을
- 3.27. 구로구 갑
- 3.28. 구로구 을
- 3.29. 영등포구 갑
- 3.30. 영등포구 을
- 3.31. 동작구 갑
- 3.32. 동작구 을
- 3.33. 관악구 갑
- 3.34. 관악구 을
- 3.35. 서초구 갑
- 3.36. 서초구 을
- 3.37. 강남구 갑
- 3.38. 강남구 을
- 3.39. 송파구 갑
- 3.40. 송파구 을
- 3.41. 강동구 갑
- 3.42. 강동구 을
- 4. 당선자
- 참조
1. 개요
대한민국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특별시 지역구 선거는 1988년에 치러졌으며, 총 40개의 선거구에서 국회의원을 선출했다. 각 선거구는 종로구, 중구, 용산구 등 서울특별시의 행정 구역을 기준으로 설정되었으며, 민주정의당, 평화민주당, 통일민주당, 신민주공화당 등 주요 정당 후보들이 경쟁했다. 선거 결과, 다양한 정당의 후보들이 당선되었으며, 각 선거구별 당선자와 득표율 정보가 상세하게 기록되었다.
2. 선거구
선거구 선거구역 종로구 종로구 일원 중구 중구 일원 용산구 용산구 일원 성동구 갑 성동구 응봉동, 금호1가동, 금호2가동, 금호3가동, 금호4가동, 옥수동, 성수1가1동, 성수1가2동, 성수2가1동, 성수2가2동, 성수2가3동, 성수2가4동 성동구 을 성동구 왕십리1동, 왕십리2동, 도선동, 마장동, 사근동, 행당1동, 행당2동, 화양동, 송정동, 군자동, 용답동 성동구 병 성동구 중곡1동, 중곡2동, 중곡3동, 중곡4동, 능동, 구의동, 광장동, 자양1동, 자양2동, 자양3동 동대문구 갑 동대문구 신설동, 용두1동, 용두2동, 제기1동, 제기2동, 청량리1동, 청량리2동, 회기동, 휘경1동, 휘경2동, 이문1동, 이문2동, 이문3동 동대문구 을 동대문구 전농1동, 전농2동 전농3동, 전농4동, 답십리1동, 답십리2동, 답십리3동, 답십리4동, 답십리5동, 장안1동, 장안2동, 장안3동, 장안4동 중랑구 갑 중랑구 면목1동, 면목2동, 면목3동, 면목4동, 면목5동, 면목6동, 면목7동 중랑구 을 중랑구 상봉1동, 상봉2동, 중화1동, 중화2동, 묵1동, 묵2동, 망우1동, 망우2동, 망우3동, 신내동 성북구 갑 성북구 성북1동, 성북2동, 동소문동, 삼선1동, 삼선2동, 동선1동, 동선2동, 돈암2동, 안암동, 보문동, 정릉1동, 정릉2동, 정릉3동, 정릉4동, 길음1동, 길음2동 성북구 을 성북구 돈암1동, 길음3동, 종암1동, 종암2동, 월곡1동, 월곡2동, 월곡3동, 월곡4동, 상월곡동, 장위1동, 장위2동, 장위3동, 석관1동, 석관2동 도봉구 갑 도봉구 미아3동, 미아4동, 번1동, 번2동, 수유3동, 쌍문1동, 쌍문2동, 쌍문3동, 방학1동, 방학2동 도봉구 을 도봉구 미아1동, 미아2동, 미아5동, 미아6동, 미아7동, 미아8동, 수유1동, 수유2동, 수유4동, 수유5동 노원구 갑 노원구 창1동, 창2동, 창3동, 월계1동, 월계2동, 공릉1동, 공릉2동 노원구 을 노원구 도봉1동, 도봉2동, 하계동, 중계동, 상계1동, 상계2동, 상계3동, 상계4동, 상계5동 은평구 갑 은평구 녹번동, 응암1동, 응암2동, 응암3동, 신사동, 증산동, 수색동 은평구 을 은평구 불광1동, 불광2동, 불광3동, 갈현동, 구산동, 대조동, 역촌1동, 역촌2동, 진관내동, 진관외동 서대문구 갑 서대문구 충정로동, 천연동, 현저동, 북아현1동, 북아현2동, 북아현3동, 대신동, 창천동, 연희1동, 연희2동, 연희3동, 홍제1동, 홍제2동, 홍제4동 서대문구 을 서대문구 홍제3동, 홍은1동, 홍은2동, 홍은3동, 남가좌1동, 남가좌2동, 북가좌1동, 북가좌2동 마포구 갑 마포구 아현1동, 아현2동, 아현3동, 공덕1동, 공덕2동, 신공덕동, 도화1동, 도화2동, 용강동, 대흥동, 염리동, 노고산동, 신수동 마포구 을 마포구 창전동, 상수동, 서교동, 동교동, 합정동, 망원1동, 망원2동, 연남동, 성산1동, 성산2동, 상암동 양천구 갑 양천구 목1동, 목2동, 목3동, 목4동, 신정1동, 신정2동 양천구 을 양천구 신월1동, 신월2동, 신월3동, 신월4동, 신월5동, 신월6동, 신정3동, 신정4동, 신정5동 강서구 갑 강서구 화곡1동, 화곡2동, 화곡3동, 화곡4동, 화곡5동, 화곡본동 강서구 을 강서구 염창동, 등촌1동, 등촌2동, 가양동, 발산동, 공항동, 방화1동, 방화2동, 과해동 구로구 갑 구로구 신도림동, 구로1동, 구로2동, 구로3동, 구로4동, 구로5동, 구로6동, 고척1동, 고척2동, 개봉1동, 개봉2동, 개봉3동, 오류1동, 오류2동 구로구 을 구로구 가리봉1동, 가리봉2동, 가리봉3동, 독산1동, 독산2동, 독산3동, 독산4동, 독산본동, 시흥1동, 시흥2동, 시흥3동, 시흥4동, 시흥5동, 시흥본동 영등포구 갑 영등포구 영등포1동, 영등포2동, 영등포3동, 당산1동, 당산2동, 도림1동, 도림2동, 문래1동, 문래2동, 양평1동, 양평2동, 신길2동, 신길3동 영등포구 을 영등포구 여의동, 신길1동, 신길4동, 신길5동, 신길6동, 신길7동, 대림1동, 대림2동, 대림3동 동작구 갑 동작구 노량진1동, 노량진2동, 상도2동, 상도3동, 상도4동, 본동, 대방동, 신대방1동, 신대방2동 동작구 을 동작구 상도1동, 흑석1동, 흑석2동, 흑석3동, 동작동, 사당1동, 사당2동, 사당3동, 사당4동 관악구 갑 관악구 봉천본동, 봉천1동, 봉천2동, 봉천3동, 봉천4동, 봉천5동, 봉천6동, 봉천7동, 봉천8동, 봉천9동, 봉천10동, 봉천11동, 남현동 관악구 을 관악구 신림본동, 신림1동, 신림2동, 신림3동, 신림4동, 신림5동, 신림6동, 신림7동, 신림8동, 신림9동, 신림10동, 신림11동 서초구 갑 서초구 잠원동, 반포본동, 반포1동, 반포2동, 반포3동, 방배본동, 방배1동 서초구 을 서초구 서초1동, 서초2동, 방배2동, 방배3동, 도곡동, 양재동, 내곡동 강남구 갑 강남구 신사동, 논현동, 학동, 압구정동, 청담동, 역삼1동, 역삼2동 강남구 을 강남구 삼성1동, 삼성2동, 대치1동, 대치2동, 대치3동, 개포1동, 개포2동, 개포3동, 세곡동, 일원동 송파구 갑 송파구 풍납1동, 풍납2동, 방이동, 잠실본동, 잠실1동, 잠실2동, 잠실3동, 잠실4동, 잠실5동, 잠실6동 송파구 을 송파구 거여동, 마천1동, 마천2동, 오금동, 송파동, 석촌동, 가락동, 문정동 강동구 갑 강동구 하일동, 상일동, 명일동, 고덕동, 암사1동, 암사2동, 암사3동, 길1동, 길2동 강동구 을 강동구 천호1동, 천호2동, 천호3동, 천호4동, 성내1동, 성내2동, 둔촌1동, 둔촌2동
3. 개표 결과
3. 1. 종로구
대한민국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서울특별시 종로구 선거구는 175,660명의 유권자가 참여했다. 민주정의당 이종찬 후보가 46,534표(37.95%)를 얻어 당선되었다. 통일민주당 김명윤 후보는 44,488표(36.28%)를 얻어 2위를 기록했다. 신민주공화당 정인봉 후보는 15,139표(12.34%), 한겨레민주당 제정구 후보는 15,031표(12.26%)를 얻었다. 그 외 한주의통일한국당 김경민 후보는 683표(0.55%), 사회민주당1985 한상필 후보는 418표(0.34%), 우리정의당 차장량 후보는 305표(0.24%)를 얻는 데 그쳤다.
3. 2. 중구
대한민국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서울특별시 중구는 유권자 137,878명이었다. 평화민주당 정대철 후보가 38,228표(39.58%)를 얻어 당선되었다. 민주정의당 장기홍 후보는 27,617표(28.59%), 통일민주당 김중태 후보는 20,721표(21.45%), 신민주공화당 문창탁 후보는 8,935표(9.25%)를 득표했다. 그 외 민중의당 이세춘 후보는 837표(0.86%), 한국국민당 김명주 후보는 240표(0.24%)를 얻었다. 총 96,578표가 집계되었다.
3. 3. 용산구
대한민국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특별시 용산구에서는 민주정의당 서정화 후보가 32.88%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. 평화민주당 한영애 후보는 23.49%, 통일민주당 김재영 후보는 23.03%, 신민주공화당 설송웅 후보는 17.58%를 득표했다. 한겨레민주당 정무형 후보와 우리정의당 이부규 후보는 각각 2.58%, 0.40%를 득표했다.
3. 4. 성동구 갑
대한민국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특별시 성동구 갑 선거구에서는 평화민주당 강금식 후보가 33.03%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. 민주정의당 이세기 후보는 32.00%를 득표하여 2위를 기록하였다. 통일민주당 박종철 후보는 16.61%, 신민주공화당 박병호 후보는 16.39%, 무소속 이연국 후보는 1.96%를 득표하였다.
3. 5. 성동구 을
대한민국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특별시 성동구 을 선거구에서는 평화민주당 조세형 후보가 41.45%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. 민주정의당 설영주 후보는 19.84%, 신민주공화당 노진환 후보는 16.00%, 통일민주당 심의석 후보는 15.97%, 한겨레민주당 최윤기 후보는 3.38%, 무소속 김원식 후보는 3.34%를 득표했다.
3. 6. 성동구 병
대한민국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특별시 성동구 병 선거구에서는 통일민주당 박용만 후보가 32.26%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. 민주정의당 신영균 후보는 30.87%를 득표하여 2위를 기록하였다. 평화민주당 최운상 후보는 22.71%, 신민주공화당 윤백현 후보는 13.23%를 득표하였다. 우리정의당 신상수 후보는 0.89%를 득표하였다.
3. 7. 동대문구 갑
대한민국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갑 선거구에서는 평화민주당 최훈 후보가 25.12%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. 민주정의당 유종열 후보는 23.73%, 통일민주당 노승우 후보는 23.56%, 신민주공화당 이인근 후보는 21.56%를 득표했다. 한겨레민주당 장광근 후보는 3.83%, 무소속 강두원 후보는 1.65%, 우리정의당 전명환 후보는 0.52%를 득표했다.
3. 8. 동대문구 을
대한민국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을 선거구에서는 민주정의당 김영구 후보가 30.37%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. 다른 후보로는 평화민주당 고광진 후보가 27.92%, 통일민주당 송원영 후보가 20.37%, 신민주공화당 김태웅 후보가 13.39%를 득표하였다.
3. 9. 중랑구 갑
대한민국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특별시 중랑구 갑 선거구에서는 평화민주당 이상수 후보가 32.30%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. 민주정의당 이순재 후보는 31.40%를 득표하여 2위를 기록하였다. 통일민주당 류택형 후보는 20.22%, 신민주공화당 박훈 후보는 11.84%, 무소속 황익수 후보는 4.22%를 득표하였다.
3. 10. 중랑구 을
대한민국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특별시 중랑구 을 선거구에서는 평화민주당 김덕규 후보가 29.04%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. 민주정의당 천명기 후보는 25.60%를 득표하여 2위를 기록했고, 통일민주당 박찬 후보는 24.36%, 신민주공화당 강병진 후보는 18.61%, 한겨레민주당 김성식 후보는 2.37%를 득표하였다.
3. 11. 성북구 갑
대한민국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특별시 성북구 갑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이철 후보가 31.15%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. 민주정의당 김정례 후보는 23.45%, 평화민주당 설훈 후보는 22.59%를 득표했다. 신민주공화당 최재우 후보는 12.51%, 통일민주당 고인순 후보는 8.10%를 득표하였으며, 사회민주당1985 송영기 후보 (1.44%)와 한겨레민주당 김현식 후보 (0.73%)가 뒤를 이었다.
3. 12. 성북구 을
대한민국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특별시 성북구 을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190,003명이었다. 평화민주당 조윤형 후보가 38.57%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. 민주정의당 강성재 후보는 23.59%, 통일민주당 현승일 후보는 23.46%, 신민주공화당 김유 후보는 12.90%, 한겨레민주당 임태백 후보는 1.45%를 득표했다. 총 130,418표가 집계되었다.
3. 13. 도봉구 갑
대한민국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특별시 도봉구 갑 선거구에서는 신민주공화당 신오철 후보가 33.27%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. 민주정의당 장천석 후보는 19.34%, 평화민주당 한호상 후보는 18.80%를 득표했다. 한겨레민주당 조순형 후보와 통일민주당 박정태 후보는 각각 14.86%, 13.71%를 득표했다.
3. 14. 도봉구 을
대한민국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특별시 도봉구 을 선거구에서는 평화민주당 이철용 후보가 32.09%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. 민주정의당 배성동 후보는 23.84%를 득표하여 2위를 기록하였다. 통일민주당 임정규 후보는 17.61%, 신민주공화당 김우경 후보는 12.85%를 득표하였다. 그 외에 무소속 김원길 후보는 7.30%, 한겨레민주당 전대열 후보는 3.24%, 신한민주당 박영식 후보는 1.19%, 무소속 이영수 후보는 0.96%, 기독성민당 진복기 후보는 0.89%를 득표하였다.
3. 15. 노원구 갑
대한민국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특별시 노원구 갑 선거구에서는 통일민주당 백남치 후보가 28.46%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. 득표수는 25,699표였다. 평화민주당 박병일 후보는 27.25%(24,602표), 민주정의당 안대륜 후보는 24.09%(21,754표)를 얻었다. 신민주공화당 성정기 후보는 11.78%(10,640표), 한겨레민주당 유인태 후보는 8.39%(7,575표)를 기록하였다. 총 유권자 수는 134,013명, 총 투표수는 90,270표였다.
3. 16. 노원구 을
대한민국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서울특별시 노원구 을 선거구에서는 신민주공화당 김용채 후보가 30.79%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. 평화민주당 임채정 후보는 29.99%를 득표하여 2위를 기록하였다. 통일민주당 신두희 후보는 20.78%, 민주정의당 권오주 후보는 15.97%를 득표하였다. 우리정의당 정선배 후보는 2.44%를 득표했다.
3. 17. 은평구 갑
대한민국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특별시 은평구 갑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141,534명이었다. 민주정의당 오유방 후보가 31.80%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. 평화민주당 조동회 후보는 30.19%, 통일민주당 오상현 후보는 24.50%를 득표하였다. 그 외 신민주공화당 송의현 후보는 9.90%, 한겨레민주당 송장달 후보는 2.21%, 우리정의당 손가명 후보는 0.86%, 신한민주당 황성 후보는 0.50%를 득표하는 데 그쳤다.
3. 18. 은평구 을
대한민국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특별시 은평구 을 선거구에서는 통일민주당 김재광 후보가 26.13%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. 민주정의당 박완일 후보는 25.80%를 득표하여 2위를 기록하였다. 평화민주당 이원형 후보는 25.61%를, 신민주공화당 임인채 후보는 13.10%를, 한겨레민주당 이현배 후보는 9.33%를 득표하였다.
3. 19. 서대문구 갑
대한민국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갑 선거구에서는 민주정의당 강성모 후보가 37.04%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. 통일민주당 김상현 후보는 31.39%, 평화민주당 김학민 후보는 23.65%, 신민주공화당 신순원 후보는 5.76%, 우리정의당 오재관 후보는 1.37%, 무소속 고은석 후보는 0.75%를 득표했다.
3. 20. 서대문구 을
대한민국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을 선거구에서는 평화민주당 임춘원 후보가 38.43%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. 민주정의당 안성혁 후보는 26.45%, 통일민주당 강원채 후보는 24.50%, 신민주공화당 이승일 후보는 7.90%, 한겨레민주당 이근봉 후보는 2.70%를 득표했다.
3. 21. 마포구 갑
대한민국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특별시 마포구 갑 선거구에서는 평화민주당 노승환 후보가 35.71%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. 민주정의당 박명환 후보는 29.48%, 통일민주당 박홍섭 후보는 24.71%, 신민주공화당 이종순 후보는 10.08%를 득표했다.
3. 22. 마포구 을
대한민국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특별시 마포구 을 선거구에서는 통일민주당 강신옥 후보가 38.44%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. 민주정의당 박주천 후보는 26.70%, 평화민주당 김승목 후보는 21.75%, 신민주공화당 장덕환 후보는 13.09%를 득표했다.
3. 23. 양천구 갑
대한민국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특별시 양천구 갑 선거구에서는 평화민주당 양성우 후보가 28.16%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. 통일민주당 박수복 후보는 25.74%, 민주정의당 박범진 후보는 24.17%, 신민주공화당 이규정 후보는 16.08%를 득표했다. 무소속 김황식 후보는 3.77%, 무소속 이종일 후보는 1.17%, 우리정의당 서병찬 후보는 0.58%, 사회민주당1985 고순복 후보는 0.28%를 득표했다.
3. 24. 양천구 을
대한민국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특별시 양천구 을 선거구에서는 평화민주당 김영배 후보가 35.14%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. 신민주공화당 최후집 후보는 25.23%, 민주정의당 양창중 후보는 22.21%, 통일민주당 탁형춘 후보는 16.24%, 무소속 서태종 후보는 1.16%를 득표했다.
3. 25. 강서구 갑
대한민국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특별시 강서구 갑 선거구에서는 평화민주당 이원배 후보가 26.93%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. 통일민주당 이원종 후보는 25.75%, 민주정의당 유영 후보는 23.03%, 신민주공화당 고병현 후보는 21.21%, 무소속 김수태 후보는 3.06%를 득표했다.
3. 26. 강서구 을
대한민국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특별시 강서구 을 선거구에서는 민주정의당 남재희 후보가 31.32%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. 통일민주당 최두환 후보는 27.04%를 득표하여 2위를 기록했다. 평화민주당 김재현 후보는 21.79%를 득표했다. 신민주공화당 김인식 후보는 13.06%, 제3세대당 이경표 후보는 5.12%, 한겨레민주당 최수영 후보는 1.63%를 득표했다.
3. 27. 구로구 갑
대한민국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특별시 구로구 갑 선거구에서는 민주정의당 김기배 후보가 32.63%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. 평화민주당 박영록 후보는 31.38%를 득표하여 2위를 기록하였다.
3. 28. 구로구 을
대한민국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특별시 구로구 을 선거구에서는 신민주공화당 유기수 후보가 29.59%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. 평화민주당 나이균 후보는 27.89%를 득표하여 2위를 기록했고, 민주정의당 최백희 후보는 19.34%, 통일민주당 김종배 후보는 12.03%를 득표하였다. 무소속 조봉제 후보는 4.11%, 민중의당 정태윤 후보는 3.57%, 신한민주당 한인수 후보는 2.24%, 한국국민당 전수복 후보는 0.65%, 우리정의당 김영재 후보는 0.53%를 득표하였다. 총 유권자 수는 220,045명이었고, 총 투표수는 150,664표였다.
3. 29. 영등포구 갑
대한민국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갑 선거구에서는 통일민주당 장석화 후보가 30.64%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. 평화민주당 김수일 후보는 27.69%를 득표해 2위를 기록했다. 민주정의당 이득헌 후보는 25.34%를 득표했다. 신민주공화당 류관석 후보는 8.64%, 무소속 박한상 후보는 3.42%를 득표하였다. 우리정의당 백철 후보와 한겨레민주당 권혁충 후보는 각각 2.67%, 1.57%를 득표했다.
3. 30. 영등포구 을
대한민국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을 선거구에서는 민주정의당 김명섭 후보가 29.15%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. 통일민주당 이원범 후보는 28.72%, 평화민주당 이용희 후보는 28.64%, 신민주공화당 박상웅 후보는 13.47%를 득표했다.
3. 31. 동작구 갑
대한민국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특별시 동작구 갑 선거구에서는 통일민주당 서청원 후보가 39.29%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. 민주정의당 허청일 후보는 27.07%, 평화민주당 김상균 후보는 19.21%, 신민주공화당 윤용구 후보는 10.42%를 득표했다. 한겨레민주당 김부겸 후보는 3.25%를 득표했다.
3. 32. 동작구 을
대한민국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특별시 동작구 을 선거구에서는 평화민주당 박실 후보가 40.81%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. 민주정의당 유용태 후보는 25.81%, 신민주공화당 조준호 후보는 19.36%, 통일민주당 양해준 후보는 13.16%, 우리정의당 편영우 후보는 0.82%를 득표했다. 총 유권자 수는 132,700명, 총 투표수는 91,255표였다.
3. 33. 관악구 갑
대한민국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특별시 관악구 갑 선거구에서는 평화민주당 한광옥 후보가 38.99%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. 신민주공화당 이상현 후보는 28.47%, 민주정의당 김우연 후보는 16.62%, 통일민주당 임광순 후보는 11.02%를 득표했다. 그 외 무소속 이영희 후보, 한겨레민주당 정혜원 후보, 무소속 최병순 후보, 우리정의당 심덕원 후보, 민주한국당 김봉철 후보가 출마했다.
3. 34. 관악구 을
대한민국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특별시 관악구 을 선거구에서는 평화민주당 이해찬 후보가 31.18%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. 민주정의당 김종인 후보는 27.12%, 통일민주당 김수한 후보는 24.21%를 득표했다.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이해찬 평화민주당 39,950 31.18 김종인 민주정의당 34,752 27.12 김수한 통일민주당 31,017 24.21 권태오 신민주공화당 18,664 14.56 엄정남 민중의당 3,731 2.91 합계 128,114
3. 35. 서초구 갑
대한민국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특별시 서초구 갑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박찬종 후보가 30.46%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. 민주정의당 이종률 후보는 25.12%를 득표하여 2위를 기록하였다.
3. 36. 서초구 을
대한민국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특별시 서초구 을 선거구에서는 통일민주당 김덕룡 후보가 34.57%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. 신민주공화당 한병기 후보는 21.59%를 득표하여 2위를 기록하였다. 민주정의당 이동복 후보는 21.40%를 득표하였다. 평화민주당 정완기 후보는 16.21%를 득표하였다. 무소속 구자호 후보는 4.73%를 득표하였다. 신한민주당 김병욱 후보는 1.47%의 득표율을 기록하였다.
3. 37. 강남구 갑
대한민국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특별시 강남구 갑 선거구에서는 통일민주당 황병태 후보가 27.03%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. 신민주공화당 최재구 후보는 21.41%, 민주정의당 정희경 후보는 17.89%, 평화민주당 김경재 후보는 17.88%를 득표했다. 무소속 장기욱 후보는 12.54%, 우리정의당 김상철 후보는 2.95%, 한국국민당 강봉수 후보는 0.26%를 득표했다.
3. 38. 강남구 을
대한민국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특별시 강남구 을 선거구에서는 민주정의당 이태섭 후보가 35.97%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. 무소속 홍사덕 후보는 30.39%를 득표하여 2위를 기록했다. 통일민주당 민창기 후보는 20.95%, 평화민주당 박명서 후보는 9.38%를 득표했다. 신민주공화당 박춘응 후보와 우리정의당 김용덕 후보는 각각 2.96%, 0.32%를 득표했다.
3. 39. 송파구 갑
대한민국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특별시 송파구 갑 선거구에서는 통일민주당 김우석 후보가 24.54%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. 민주정의당 조순환 후보는 20.02%, 평화민주당 남현식 후보는 19.44%, 신민주공화당 조용직 후보는 16.19%, 무소속 허경구 후보는 14.52%를 기록했다. 신한민주당 김병수 후보는 3.19%, 한겨레민주당 이대용 후보는 2.06%를 얻었다.
3. 40. 송파구 을
대한민국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특별시 송파구 을 선거구에서는 평화민주당 김종완 후보가 26.59%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. 통일민주당 김병태 후보는 25.29%, 민주정의당 박완남 후보는 22.60%, 신민주공화당 류호필 후보는 19.33%, 한겨레민주당 박용일 후보는 5.47%, 무소속 안영명 후보는 0.69%를 득표했다. 총 유권자 수는 168,361명이었고, 총 투표수는 114,383표였다.
3. 41. 강동구 갑
대한민국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특별시 강동구 갑 선거구에서는 통일민주당 김동규 후보가 33.24%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. 평화민주당 정진길 후보는 26.93%, 민주정의당 황동현 후보는 22.67%, 신민주공화당 김익중 후보는 13.97%, 한겨레민주당 임도빈 후보는 3.17%를 득표했다. 총 유권자 수는 172,133명이었다.
3. 42. 강동구 을
대한민국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특별시 강동구 을 선거구에서는 민주정의당 김중위 후보가 30.04%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. 장충준, 이상윤, 김종택, 홍성표 후보 등이 출마하였다.
4. 당선자
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,정부 간행물,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.
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, CC BY-SA 4.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.
하지만,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, 부정확한 정보,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,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.
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,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.
문의하기 : help@durumis.com